본문 바로가기
Project/Ubuntu

Rocky Linux 8 wsl 셋팅 방법

by FastBench 2025. 9. 13.
반응형

Rocky Linux 8 on WSL: Setup Procedure

1. Rootfs 준비

  • Podman/Docker에서 Rocky Linux 8.10 컨테이너 실행
    • podman pull rockylinux:8
    • podman run --name rocky8 -it rockylinux:8 /bin/bash
  • 컨테이너 내부에서 기본 유틸 설치 및 업데이트
    • dnf update -y dnf install -y sudo passwd vim curl wget exit
  • 컨테이너 파일시스템 추출
    • podman export rocky8 > rockylinux-8-rootfs.tar

2. WSL Import

  • Windows에서 디렉터리 준비 (Powershell 에서 진행)
    • mkdir C:\WSL\Distros\Rocky8
  • Rootfs import
    • wsl --import Rocky8 C:\WSL\Distros\Rocky8 <추출한 rootfs 경로> --version 2
  • 설치 확인
    • wsl -l -v

3. 초기 설정

  • 배포판 접속
    • wsl -d Rocky8
  • root 비밀번호/유저 관리 패키지 설치
    • sudo dnf install -y shadow-utils passwd
  • root 비밀번호 설정 (선택)
    • passwd
  • 일반 사용자 추가 및 sudo 권한 부여
    • useradd -m -G wheel <user id>
      passwd <passwd>
  • sudoers 확인: wheel 그룹 사용자에 sudo 권한 부여

4. 환경 설정

  • 시스템 업데이트
    • sudo dnf update -y
  • locale, timezone, 쉘 설정 (~/.bashrc 등) 조정
  • /etc/wsl.conf 생성 (기본 사용자 지정)
    • [user]
      default=<user id>
    • ※ 참고: [boot] systemd=true 옵션은 Rocky Linux 8 환경에서는 정상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WSL 재시작
    • wsl --shutdown
      또는 wsl --terminate Rocky8
  • 이후 wsl -d Rocky8.10 실행 시 기본 사용자로 진입

 

5. GUI 실행 준비

  • OpenGL/GTK 관련 라이브러리 설치
    • sudo dnf install -y mesa-libGL mesa-libEGL mesa-libGLU gtk3 xorg-x11-apps
  • GUI 앱 테스트
    • xclock gvim
  • Windows 11에서는 WSLg로 바로 실행, Windows 10은 VcXsrv 등 외부 X 서버 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