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클레오보드로 freeRTOS 를 연구해보기 위해 NUCLEO-F401RE 보드를 구매했다.
2-3만원 대로 구매를 하였고, 본 게시글 작성을 통해 해당 보드와 관련된 라인업과 간단한 네이밍 정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MCU의 디테일한 정보(메모리맵, 아키텍처 등)는 다른 게시글에서 다룬다.
NUCELO 시리즈
NUCELO 보드의 경우 ST 사에서 직접 개발하여 판매하는 개발 보드이다. I/O 핀 개수에 따라 Nucleo 32 64 144 로 3가지로 구분된다.
제품 포트폴리오 문서를 보면 유연한 프로토타이핑, 제한없는 확장성을 모토로 하고 있다.
nucleo-64 보드의 경우 아두이노 우노 v3 와 결합가능하도록 핀헤더가 제공된다.
(32의 경우 아두이노 나노와 결합 가능)
세 플랫폼 모두, 보드 내에 ST-LINK 디버거가 탑재되어 있어 usb 케이블연결만으로 디버깅과 플래시가 가능하다.
NUCELO 뒤에 붙은 네이밍은 탑재된 MCU의 네이밍을 따라가므로, STM32 MCU 의 라인업을 먼저 살펴봐야 한다.
Naming | Description |
STM32H | Highend |
STM32F | Main stream, Hihgend Coretex M0 M3 M4 등 사용 |
STM32G | F를 대체하는 신형 메인스트림 라인업 F 대비 더 높은 클럭 대응 가능 |
STM32L | Low power |
STM32U | M33 기반의 차세대 저전력 프로세서 |
STM32W | Wireless 기능 내장 |
STM32MP | STM32 기반 micro processor 라인업 AP 로써도 기능 |
STM32C | 2023년 출시 8 bit/16bit 하지만, stm32 의 기능을 최대한 제공하는 구성 |
STPIN | 모터 드라이브 통합형 마이크로컨트롤 |
아래 그림으로 nucleo 보드의 라인업들의 특징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NUCELO-F401RE
STM32F401RE는 ARM Cortex-M4 코어의 MCU 들을 기반으로 하는 STM32F4 시리즈의 Access line 에 해당하는 제품 중 하나이다.
(Advanced lines, Foundation lines, Access lines)
- 401 line 의 part numbering
Part numbering | Description | |
Product type | F | General Purpose |
Device subfamily | 401 | 401 family (refer the above table) |
Pin count | C | 48/49 pins |
R | 64 pins | |
V | 100 pins | |
Flash memory size | D | 384KB |
E | 512KB |
NUCLEO-F401RE 보드의 경우 MB1136 보드 플랫폼 기반으로 제작이 되었고 유저매뉴얼로는 UM1724 문서를 확인하면 된다.
기타 자세한 정보는 아래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Reference
'Project > Embedd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QEMU]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 OpenSBI (0) | 2024.06.12 |
---|---|
[QEMU]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 OpenSBI overview (0) | 2024.06.11 |
[QEMU]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 Flash 테스트 (0) | 2024.06.10 |
[QEMU]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 가상 보드 등록 2 (0) | 2024.06.09 |
[QEMU]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 가상 보드 등록 (0) | 2024.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