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ject15

[Vim Plugin] YouCompleteMe 이걸 깔고 엄청 후회를 했다.왜 진작 깔지 않았을까.github 링크https://github.com/ycm-core/YouCompleteMe GitHub - ycm-core/YouCompleteMe: A code-completion engine for VimA code-completion engine for Vim. Contribute to ycm-core/YouCompleteM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README 를 읽어보니, 설치방법이 여간 귀찮은게 아니다. 그래서 그냥 Vundle 로 설치하기로 했다.(Vundle : Vim plugin 을 관리하는 Plugin) Vundle 설치다운로드git clone https://g.. 2024. 5. 12.
WSL2 D드라이브로 마이그레이션하기 WSL2(Windows Subsystem for Linux 2)에서 기본 저장 위치를 C 드라이브에서 D 드라이브로 변경하기 기존 WSL2 인스턴스를 내보낸 후 D 드라이브에 다시 가져오는 방법 WSL 인스턴스 내보내기: 현재 사용 중인 WSL 인스턴스를 tar 파일로 내보낸다.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후 다음 명령어를 사용한다. (여기서는 Ubuntu라는 이름의 WSL 인스턴스를 예로 들었. 실제 사용 중인 인스턴스 이름으로 변경해야 한다.) wsl --export Ubuntu D:\wsl_backup\Ubuntu.tar​ 기존 WSL 인스턴스 제거: 내보낸 후에는 기존 인스턴스를 제거한다. wsl --unregister Ubuntu​ 새 위치에 WSL 인스턴스 가져오기: 내보낸 .. 2024. 4. 4.
vim 에서 ^M 일괄 삭제 보통 윈도우에서 작성된 텍스트를 리눅스 환경에서 열어볼때 발생한다. 각 OS마다 개행 문자가 다르기 때문인데, 아래의 vim 커맨드로 해결 가능하다. :%s/^M//g 문제는 저기 나온 ^M 이 문자가 아니라는 점인데,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V+M 을 입력하면 된다. 2024. 3. 28.
X서버 관련 해결 방법 WSL2 gui 사용시, 윈도우 해상도 로 인해 gui 앱의 스케일이 매우 작을 경우 $ vim ~/.Xresources Xft.dpi: 144 #숫자는 취향에 맞게 변경 $ xrdb -merge ~/.Xresources​ xrdb 부분은 .bashrc 에 설정해야 매번 적용된다. gvim 실행시 g_dbus_proxy_new: assertion 'G_IS_DBUS_CONNECTION (connection)' failed 오류 발생 시 sudo apt purge fcitx-module-dbus​ https://askubuntu.com/questions/1128343/g-is-dbus-connection-failed 2024. 3. 24.
NUCELO 보드 네이밍 정보 (NUCELO-F401RE) 뉴클레오보드로 freeRTOS 를 연구해보기 위해 NUCLEO-F401RE 보드를 구매했다. 2-3만원 대로 구매를 하였고, 본 게시글 작성을 통해 해당 보드와 관련된 라인업과 간단한 네이밍 정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MCU의 디테일한 정보(메모리맵, 아키텍처 등)는 다른 게시글에서 다룬다. NUCELO 시리즈 NUCELO 보드의 경우 ST 사에서 직접 개발하여 판매하는 개발 보드이다. I/O 핀 개수에 따라 Nucleo 32 64 144 로 3가지로 구분된다. 제품 포트폴리오 문서를 보면 유연한 프로토타이핑, 제한없는 확장성을 모토로 하고 있다. nucleo-64 보드의 경우 아두이노 우노 v3 와 결합가능하도록 핀헤더가 제공된다. (32의 경우 아두이노 나노와 결합 가능) 세 플랫폼 모두, 보드 .. 2024. 1. 2.
멀티 OS 설치 - Windows11, Ubuntu 22.04) Disk Partition 멀티 OS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GRUB 이라는 별도의 로더를 사용해야 한다. 해당 로더는 어디에 위치할까? 이를 알기 위해서는 디스크의 파티션 방식에 대해 간략히 알아야 한다. 디스크 관리 유틸리티를 열어준다. 내가 사용하고 있는 windows11 기준으로 디스크 관리(disk management)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영어로 검색하던지 한글로 '하드디스크 파티션 만들기 및 포맷' 이라고 검색하면 된다. 최근 대부분의 x86 시스템이 사용하는 펌웨어(부트로더)는 BIOS 가 아닌 UEFI 이고, UEF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포맷 시 GPT 파티션 방식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EFI 파티션이(EFI 시스템 파티션, ESP 라고도 한다) 자동으로 생성된다. 유저입장에서 보이.. 2023. 11. 19.